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종,2종,3종 일반주거지역 무엇일까요?

by 우아띵 2021. 5. 8.

 땅의 분류에는 공업지역, 농림지, 상업지역, 준주거지역, 주거지역으로 크게 나웁니다.  그 중 주거지역에서도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으로 나뉘는데, 일반주거지역에는 1종,2종,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분류하여 어떤곳은 아파트가 되고 층수제한이 없으며 어떤곳은 아파트가 들어설 수 없는 지역이 있고... 등등 복잡합니다. 재개발 물건을 찾을때나 땅이나 건물을 투자할때 이런것 초자 모르고 들어갔다간 심하게 물리는수가 있습니다. 친구땅산거보고 함부러 따라 사거나 그옆에 사면 안된다는 뜻이죠?

오늘 일반주거지역에 대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제1종일반주거지역

 저층주택 위주로 지을 수 있겠금 허락해준 지역입니다. 건폐율은 60% 이하이며, 용적률은 100%이상~200%이하 지역을 말하며 보통은 단독주택이나 연립, 다세대주택이 가능하고 5층이하의 건물로 내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아파트는 지을 수 없고 필로티로 지을 경우는 5층까지 가능합니다.  제1종 근린생활시설(슈퍼,미용실등), 유치원,초등학교,중고등학교,노유자시설 설립이 가능합니다.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60%이하, 용적율 150%이상~250%이하로 중층 주택 중심의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지정한 지역으로 단독주택시 7층, 아파트는 15층 이하로 층고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각 지자체 조례나 시행령에 따라 층수제한이 다릅니다.)

 

제3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50%이하, 용적율 200~300%이하이며 층수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고층빌딩, 오피스텔, 아파트단지를 말합니다. 같은동네 비슷한 면적이면 3종일반주거지역이 가장 활용도가 좋으므로 땅값도 가장 비싸다고 볼 수 있겠죠? 재개발이 들어갈때에도 감정평가에서도 가장 후한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